충전을 하지 않은 상태로 맥을 사용할 경우 화면이 갑자기 꺼지게 됩니다. 그렇다고 작업하던 내용이 날아가거나 삭제되지는 않으니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다시 전원을 연결한 후 전원 버튼을 누를경우 최근 사용한 화면 그대로 다시 화면에 복구가 되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부트캠프 사용중 전원이 나가면 복구는 되지 않고 그냥 부팅이됩니다. 항상 전원을 연결하고 사용하시는 분들은 한달에 한번정도는 배터리를 완전 소모해주는게 배터리 관리측면에서 좋다고 합니다. 애플에서도 권고 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맥을 사용하게 되면 설치되어있는 아이튠즈를 통해서 음악을 재생하거나 관리하게 됩니다. 물론 CD를 굽거나 MP3파일 변환등을 위해 이용하기도 합니다. 음원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를 아이튠즈에 Drag&Drop시 재생목록에 추가되며 자동으로 음원의 볼륨을 설정하고 기본적으로 아이튠즈가 설치된 폴더에 해당 음원 파일들이 "/Users/XXX/Music/iTunes/iTunes Media" 해당 경로로 복사됩니다. 어느 순간 이 문제를 모르고 있다가 컴퓨터 용량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이튠즈 환경설정에서 "보관함에 추가 시 iTunes Media 폴더에 파일 복사"를 체크 해제 하시면 됩니다.
맥 OS X를 사용하다보면 프로그램을 설치할 기회가 종종생깁니다. 하지만 승인받지 않은 프로그램의 경우나 App Store가 아닌곳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할 경우 "확인되지 않은 개발자가 배포했기 때문에 열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나오며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이를 간단하게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설치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우클릭 > '실행'을 선택합니다. 트랙패드를 사용하실 경우 'control'키를 누른상태에서 트랙패트로 선택하면 마우스 우클릭이 됩니다. 열기를 선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됩니다. 환경설정에서 프로그램 설치 권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경설정에서 "보안 및 개인 정보"를 선택합니다. 자물쇠가 잠겨 있을 경우 해제하기 위해 자물쇠를 선택한 후 ..
준비물 : 4GB용량 이상의 USB와 윈도우7 iso설치파일진행 순서 : 응용프로그램 > 유틸리티 > Boot Camp 지원 > USB포멧, 윈도우 지원 소프트웨어 다운, 윈도우 USB설치 > 파티션 설정 >재부팅 > 윈도우 설치 진행 > 파티션 포멧(BOOTCAMP, 4번째 것) > BOOTCAMP 선택하여 설치 > 윈도우 설치 완료 후 USB의 BootCamp 폴더에서 유틸리티 실행 > 하드웨서 설정완료!! - 별도로 소프트웨어 다운, 파티션 생성을 하실필요 없습니다. 부트캠프에서 전부 다 지원 됩니다. - 부팅 시 윈도우로 부팅하기 위해서는 option('alt')키를 부팅 초기에 누르고 계시면 됩니다. 문제1. 윈도우 설치도중 파티션 선택창에서 오류 메시지가 나왔을 경우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
Mac에서 한영 토글 전환키 설정하기! 시스템 환경설정을 실행합니다. 키보드를 선택하세요. Commend+Space 단축키 실행시 Spotlight가 실행된다면 해당 단축키 탭을 선택!Spotlight를 선택하여 해당 옵션을 끄세요. 언어 변환을 위해 "입력 소스"를 선택 후 해당 단축키를 활성화 시켜주시면 됩니다.단축키 지정을 변경하시려면 해당 단축키를 더블클릭 하시고사용할 단축키를 눌러주면 설정이 완료 됩니다. 혹 언어가 영어만 되어 있을 경우 "입력 소스"탭에서 '+' 선택 후 "두벌식"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입력창에서 Commend+Space 눌렀을 경우 한/영 변환이 되면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기존 개발된 기능들을 배포할 일이 생겨 프레임워크를 생성하게 되었다.라이브러리 형태로 배포를 해도 되지만 해더파일까지 보여야 했기에 자료를 검색!!영문으로 된 자료를 친절하게도 한글로 번역해 주신 분의 자료를 찾을 수 있었다. (감사합니다~^^) ios 라이브러리를 Framework 형태로 만들기 및 배포. 아직 정식적으로 소스를 생성하여 활용해 보지 않았지만 기본 셈플을 만드는데에 상당한 시일이 걸렸다. 그놈의 버그..작업 중간중간 혹시 모를 에러가 발생할까 싶어 종종 빌드를 진행하였다.하지만 최종적으로 새로운 프로젝트에 생성된 프레임워크를 추가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linker command failed with exit code 1 (use v to see invocation)이 ..
아이폰을 쓰다보면 내용을 기록하거나 스크랩 하는 일이 생긴다.이 내용을 어떻게 공유할것인지 문자로 보낼까? 메일로 보낼까? 아이폰의 경우 사용중인 폰이라면 그럴 걱정이 없다.설정만 해놓으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말이다.아이폰을 쓰다보면 자동 빽업을 하기위해서 iCloud설정이나 메일을 쓰기위해 여러 메일등을 연동하게된다.iCloud 설정및 메일 설정이 Gmail 둘 다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겠다.설정에서 iCloud, 메일 설정에서 메모 공유를 관련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환경설정 > 메일 설정 > 계정에서 Gmail선택 시 환경설정 > iCloud 선택 시 환경설정 > 메모 선택 시 기본 계정을 선택할 수 있다. 메모를 실행하여 각각의 계정에 따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iC..
MOV확장자로 저장된 파일을 mp4형식으로 저장하던 중 문제가 발생하였다.에러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The requested URL was not found on this server." - (void)imagePickerController:(UIImagePickerController *)picker didFinishPickingMediaWithInfo:(NSDictionary *)info NSURL *url = [info objectForKey:UIImagePickerControllerMediaURL] [self convertVideoMp4:[url absoluteString]]; info에 넘어오는 URL을 통하여 바로 mp4로 저장하려 하였으나 에러가 발생하였다.아무래도 저장 시 넘어오는 UI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