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Studio에서 처음으로 스토어 배포용 APK를 생성하였다. 내부적으로 배포 했을 경우에 문제가 없기에 당연히 아무 문제도 없을 것이라 생각하고 바로 프로덕션 배포를 진행하였으나, 스토어 배포 된 버전에서 S급 오류가 무더기로 쏟아졌다. 특정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모든 기능에서 앱이 죽는 것이다.부랴부랴 검색을 하고, 이것도 고쳐보고 저것도 고쳐보았지만 이유를 알지 못한체 Release로 배포를 수십 번 했음에도 마음이 급해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그러다 마음을 가라 앉히고 Release일 때 문제가 생긴점을 감안해 app.Gradle 파일을 다시 훑어본 결과 BuildTypes가 눈에 띄웠다. 1234567891011121314 buildTypes { debug { signingCon..
Build -> Generate Signed APK 생성 시에러 해결. (Error:Execution failed for task ':app:shrinkReleaseMultiDexComponents'.) 에러 메시지 내용 Error:Execution failed for task ':app:shrinkReleaseMultiDexComponents'. > java.io.IOException: The output jar [/Users/... .../app/build/intermediates/multi-dex/release/componentClasses.jar] must be specified after an input jar, or it will be empty. 해결방법.1. proguard-rules.pr..
xCode 7.1버전 업데이트 이후 생긴 오류 로그.App Transport Security has blocked a cleartext HTTP (http://) resource load since it is insecure. Temporary exceptions can be configured via your app's Info.plist file. 해결방법.1. 해당 프로젝트 info.plist로 이동.2. "App Transport Security Settings" 속성 추가.3. "App Transport Security Settings" 속성에서 하위 아이템으로 "Allow Arbitrary Loads" 추가 후 값은 "YES"로 설정4. 빌드 후 정상 동작 확인.
추가 데이터를 계속해서 받는 배열을 property로 선언 후 객체를 추가 할 경우 오류 발생. ㅁ. 에러 형태 *** Terminating app due to uncaught exception 'NSInternalInconsistencyException', reason: '-[__NSCFArray insertObject:atIndex:]: mutating method sent to immutable object' *** First throw call stack: ㅁ. 소스 코드// 테이블뷰에 사용할 배열 선언@property (nonatomic, strong) NSMutableArray *listDataAry;// 초기화self.listDataAry = [[NSMutableArray alloc] ini..
이클립스에서 XML 구성중 "layout_"으로 시작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자동완성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 자동완성 단축키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우선 해결책으로 해본 사항은 다음과 같다.1. 이클립스 재실행.2. 레이아웃간 문법 오류 확인.3. 해당 XML을 선택 한 후 > 우 클릭 > Open With > Other... > Android Binary XML editor를 선택해 보고 다른 것들도 선택해 보았지만 해결되지 않음.4. 이클립스 > 환경설정 > Java > Editor > Content Assist > Advanced > JavaProposals (Task-Focused)를 가장 상위로 Up시키기.5. xml 상단에 추가. 결과는 5번이다.자동 완성이 나오지 않아 손가락..
원인기존 푸쉬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App ID에 APNS 인증서를 등록하였지만 토큰을 받아오지 못하는 오류. 콘솔에 NSCocoaErrorDomain Code=3000 발생 해결 방법xCode6기준 : xcode > preferences... > acount > apple IDs > 해당 인증서 우클릭 후 인증서 삭제 > 왼쪽 좌측 새로고침인증서를 전체 삭제하더라도 새로고침을 하면 다시 생성된다. Clean 및 xCode를 다시 시작한 후 다시 빌드하니 기존 build Settings의 provisioning Profile 에러가 발생하여 다시 변경 후 실행~토큰이 정상적으로 나온다.
버전 관리를 위해 svnX 툴을 이용해 복사해서 브런치에 폴더를 복사했는데 checkout 받고 커밋하려니 커밋이 되지 않는다.콘솔에서 .svn파일을 지우고 다시 업로드 하고 지우고, 몇 번을 했지만 않된다... 사진의 체크박스 부분이 회색으로 되어 있어 체크가 안될경우 우클릭 하여 Add해주면 해결 되는데Add가 나오지도 않는다. 혹시나 싶어 svnX 의 Working Copies에서 업데이트 후 확인해 보니 내가 수정 했던 파일이 수정 되었다고 나오길래해당 파일 선택 후 commit!! 그리고 다시 xCode에서 파일 수정 후 commit!!하니 된다..!!! 이건 뭐... 3시간 삽질 한게 안타까울 뿐...xCode는 예전부터 새로 생성된 저장소에 처음 커밋시 커밋이 안되는 버그가 있었는데 그거랑 ..
APNS등록시 iOS 8 버전부터 변경 됨. if ([application respondsToSelector:@selector(registerUserNotificationSettings:)]){//iOS8UIUserNotificationSettings* notificationSettings = [UIUserNotificationSettings settingsForTypes:UIUserNotificationTypeAlert | UIUserNotificationTypeBadge | UIUserNotificationTypeSound categories:nil];[[UIApplication sharedApplication] registerUserNotificationSettings:notificationSett..
준비물 : 4GB용량 이상의 USB와 윈도우7 iso설치파일진행 순서 : 응용프로그램 > 유틸리티 > Boot Camp 지원 > USB포멧, 윈도우 지원 소프트웨어 다운, 윈도우 USB설치 > 파티션 설정 >재부팅 > 윈도우 설치 진행 > 파티션 포멧(BOOTCAMP, 4번째 것) > BOOTCAMP 선택하여 설치 > 윈도우 설치 완료 후 USB의 BootCamp 폴더에서 유틸리티 실행 > 하드웨서 설정완료!! - 별도로 소프트웨어 다운, 파티션 생성을 하실필요 없습니다. 부트캠프에서 전부 다 지원 됩니다. - 부팅 시 윈도우로 부팅하기 위해서는 option('alt')키를 부팅 초기에 누르고 계시면 됩니다. 문제1. 윈도우 설치도중 파티션 선택창에서 오류 메시지가 나왔을 경우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